서울예술상

싸움의 기술, <졸>작당모의

일시
2023-06-01 ~2023-06-11
장소
아르코예술극장 소극장
  • 2번 슬라이드
  • 3번 슬라이드
  • 4번 슬라이드
  • 5번 슬라이드

출연자

  • 이미숙
  • 노희석
  • 김계남
  • 김솔빈
  • 최필규

스태프 소개

작연출 - 김풍년
사진영상 - 박태준
분장 - 장경숙
의상 - 김지연
안무 - 금배섭
음악 - 옴브레
도움 - 박효진, 김은진, 조일하
음향 - 김경남
조명 - 탁형선
무대감독 - 원소미
협력피디 - 이효정
기획 - 신재윤

수상자 소개

아닌 밤중에 홍두깨요, 자다 봉창 두들기는, 바람결에 떠돌던 이야기를 깁는 골방의 이빨 빠진 할망구이고자 한다. 일상에 머물던 사소한 씨앗들이 느닷없이 부딪혀 엉뚱한 우주를 여는 모습이 경이롭다. 이는 낮은 곳에서 영웅을 찾아내며, 후미진 골목에서 보물을 캐는 일과 같다.
미천한 이야기들이 초능력으로 확장되는 여정은 얼마나 짜릿하고 낭만적인가.
물정 모르고 무모한 벗들이 작당하고 모의하기에 가능하다.

싸움의 기술, <졸(2023)>, <터키행진곡(2021)>, <누룩의 시간(2021)>, <용선(2020)>, <무릎을긁었는데겨드랑이가따끔하여(2020)>, <구멍을 살펴라(2019)>, <숨통(2018)>, <이상할 것 없는 나라의 안이수(2017)>, <앉은뱅이(2017)>, <에너자이저(2016)>를 작업하였다.

작품 소개

2023년 작당모의는 ‘싸움의 기술(the art of war, 병법)’이라는 주제어로 <졸(卒)>을 작업한다.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코로나19와의 전쟁, 기후위기와 전쟁, 육아 전쟁, 자신과의 전쟁, 빅뱅의 순간부터 눈꺼풀을 들어 올리는 오후의 식곤증까지 싸움의 연속이다.


적당한 상대와 적당한 의자와 적당한 상대만 있으면 싸움판을 벌이는 장기꾼들에게 물었다.
어떻게 싸울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찾는 작업이었다.

아르코·대학로예술극장 공동기획, 서울국제공연예술제 후원으로 진행되었다.
대상

archive

photo 4

video 1

더 보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