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예술상
상단이미지_0
보도자료
제2회 서울예술상 장애예술인 특별상, 첫 수상자 시각장애 가야금연주자 김보경
시각장애 가야금연주자 김보경(여, 25세)이 올해 신설된 제2회 서울예술상 심사위원 특별상 장애예술인 부문첫 수상자가 됐다.서울문화재단(이창기 대표)은 28일 오후 3시 국립극장에서 제2회 서울예술상 시상식을 개최했다.제2회 서울예술상운영위원회(손숙 운영위원장)는 각 장르별 전문가와 언론사 문화전문기자단 등 12명의 심사위원으로 구성해 심사를 진행했다. 일반 예술상에 장애예술인 특별상(상금 500만 원)이 마련된 것은 서울예술상이 최초다.수상자 김보경은 1999년 각막 손상으로 태어나 여러 차례 수술을 받았지만 결국 시각장애를 갖게 됐다. 어렸을 때부터 국악프로그램을 좋아했는데 어느 날 가야금 연주를 듣고 그때까지 느껴보지 못했던 강렬한 매력을 느껴 중학교 2학년 때 가야금을 시작했다.2015년 시각장애학생 최초로 국립전통예술고등학교에 입학했고 2018년 시각장애인 최초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에 입학해 2022년에 졸업했다.현재 관현맹인전통예술단 단원으로 국립국악원을 비롯해 2019년 카네기홀 공연까지 국내외에서 다양한 공연 활동을 하며 가야금 연주 대가가 되는 희망을 키우고 있다.서울문화재단 이창기 대표는 제2회 서울예술상 후원사가 정해진 후 바로 장애예술인 특별상을 제안할 정도로 장애예술인에게 깊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한국장애예술인협회방귀희 대표는 세종대왕은 장악원에 시각장애 음악인으로 구성된 관현맹인을 두어 시각장애 음악인들을 육성했는데 2021년 장애예술인실태조사에 의하면 국악이 8.5%에 머물고 그나마 거의 소리꾼으로 연주자가 매우 드문 것은 장애인 국악연주자들이 설 무대가 없기 때문인데 김보경의 수상은 장애인국악 활성화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고마움을 표했다.수상자 김보경은졸업 후 전문 연주자로의 길에서 크고 작은 도전을 받을 때마다 힘이 빠지곤 했는데 서울예술상 수상 소식에 나의 길에 대한 확신을 갖게 됐다며 기쁨을 감추지 못했다.출처 : 에이블뉴스(https://www.ablenews.co.kr)
상세보기
상단이미지_0
보도자료
제2회 서울예술상, 장혜림 안무 ‘제ver3.타오르는 삶’ 대상…”춤은 나의 소명“
지난 28일 오후 3시 국립극장 하늘극장에서 개최된 제2회 서울예술상 시상식에는 이창기 서울문화재단 대표이사, 박상원 서울문화재단 이사장, 손숙 서울예술상 운영위원장, 김예지 국회의원(국민의힘), 방귀희 한국장애예술인협회 대표이사, 박인건 국립극장장, 김성희 연극분야 심사위원장, 임산 시각분야 심사위원장, 홀가 게어만 포르쉐코리아 대표, 안은미 대표, 배우 길해연, 최태지 서울시 명예시장, 정치용 지휘자, 김영운 국립국악원장,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등 여러 관계자가 참석했다.시상식은 전 KBS 아나운서인 황수경의 사회로 진행됐다. 이날 현장에서는 대상과 분야별(연극ㆍ무용ㆍ음악ㆍ전통ㆍ시각ㆍ다원) 최우수상 수상작이 발표됐다. 또한, 서울문화재단 지원사업 선정작 외 지난해 서울에서 발표된 작품들과 활발하게 활동을 한 장애예술인을 대상으로 한 심사위원 특별상이 새롭게 제정됐으며, 포르쉐코리아(대표이사 홀가 게어만) 기부금으로 상금을 마련한 포르쉐 프런티어상 6건의 선정작 중 한 작품은 재공연 또는 재전시를 지원받는다. 올해 서울예술상 상금은 장르통합 대상 1건 2,000만 원, 6개 장르 최우수상 1,500만 원, 6개 장르 포르쉐 프런티어상 1,000만 원, 심사위원 특별상 작품부문 500만 원, 장애예술인 부문 500만 원이 각각 수여됐다.김예지 국회의원은 축사를 통해 의미 있는 시상식을 준비해 주신 서울문화재단 박상원 이사장님, 이창기 대표님을 비롯한 관계자분들과 후원을 아끼지 않으신 포르쉐코리아, 한경 아르떼tv에 감사 인사를 드린다라며 서울예술상은 우수한 순수예술작품을 선정해 예술인과 단체에게 창작의 동기를 부여하고, 서울 시민에게는 엄선된 작품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아주 귀중한 상이다. 올해부터 심사위원 특별상에 장애 예술인 부문이 신설됐다는 반가운 소식을 들었는데, 저 때문에 올해만 주고 그만두지 마시고 제가 없더라도 계속 챙겨주셨으면 좋겠다. 부족함이 많지만, 앞으로도 기회가 된다면 계속해서 여러분들의 메신저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출처 : 서울문화투데이(http://www.sctoday.co.kr)
상세보기